
안녕하세요. 영어 에세이 첨삭/컨설팅 전문 옥스포드 라이팅 입니다.
영어 에세이 첨삭 어떤 부분을 주로 해드리는지에 대해서 짚어 드리고자 합니다.
영어 에세이를 쓰실때 가장 많이 실 수 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자 그럼 알아볼까요?
1. Hasty Generalization
그것은 generalizing(inductive reasoning)이라고도 하는데요. 우리가 자료와 데이터를 충분히 갖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표본만을 보고 나서 성급히 일반화를 하는 것을 말합니다. 마치 한번의 불편한 경험을 했던 항공사 서비스로 인해서 그 항공사가 모두 나쁘다고는 할 수 없는데 말이죠. 이것을 inductive reasoning이라고 하는데요. 확실성보다는 확률에 기인한 사고 방식입니다. 우리가 에세이에 사용할 예시는 반드시 충분한 근거가 있으면서도, 그것을 확실히 대변하는(represenstative)여야 할 것이며 관련성이 있어야 합니다.

여기 예문을 보겠습니다. 캘리포니아의 학교에서 표준 시험 성적이 10포인트가 올랐다. 그러므로 미국 공립학교에서 더 많은 학생들이 성공하고 있다. 라고 하는데요. 이 주장은 옳지 못합니다. 캘리포니아가 미국의 학교 전부를 대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지요. 이것은 성급화 일반화로 주장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근거가 아닙니다.
다음은 고정관념(Stereotype)인데요. 고정관념 또한 주장의 증거가 될 수 없습니다.



또한 하나 짚고 넘어갈 것은 아카데믹 에세이 라이팅에서는 절대적인 표현과 항상 그리고 무조건적인 표현을 쓸 수가 없습니다.
자 그러면 예문을 하나 더 들어봅시다.
“ ( 주장 )캠퍼스 내 대부분의 학생들은 학교에서 배치를 해준다면 일주일에 5시간 동안 봉사활동을 할 것이다. “
“ (증거) 최근 조사에서 1215명의 학생중에 723명이 일주일에 5시간동안 봉사활동을 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위 주장은 성급한 일반화일까요? 여기서 우리는 Inductive Reasoning Test를 해볼 수 있습니다.
1번째, 증거가 충분한가? (sufficient)
1,215명의 학생을 조사를 했는데요. 만약 학교의 규모가 3천명 학생인 소규모 학교라면 저 정도 학생을 조사 한 것은 샘플이 충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학교가 3만명인 학교라면? 1,215명의 샘플은 약 4%에 불과하기 때문에 충분하지 못하다고 할 수 있겠죠.
2번째, 대변하고 있는가?(representative)
조사한 1,215명의 학생이 사회학과 복지학 관련 학생들이 많이 포함되었다면 이 학생들은 과연 전체 ‘일반’학생들을 대변 할 수 있을까요? 사회학 복지학과 학생들은 다른 학과 학생들 보다 봉사활동을 많이하기로 알려져있습니다. 그리고 또한 성별과 나이 인종 등등 여러가지 요인과 변수를 고려를 하였는지가 주장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근거가 되겠죠.
3 번째 , 관련성이 있는가?(Relevancy)
대부분의 학생들이 봉사활동을 하고 싶어한다이고 그에 대한 조사를 했기 때문에 관련성이 있다고 말 할 수 있습니다. 만약에 다른 조사를 해놓고 그 조사를 이 주장에 붙인다면 말이 되지 않겠죠. 예를 들면 1215명중의 학생중 723명의 학생들이 “봉사활동 경험이 있다.’’라는 설문조사를 가지고 와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봉사활동을 하고 싶어 한다라고 하면 말이 맞지 않겠죠.
2. Tracing Cause and Effects
또 하나 자주 저지르는 실수는 원인과 결과를 명확하게 규명해내지 못하는 것 입니다.
‘대학교에서 화학 수업의 낙제율이 다른 과목보다 높은 이유는?’ 이라는 주제를 규명할때 화학교수진의 실력 부족, 학교 지원 부족, 먼거리의 화학과 캠퍼스 위치 등 여러가지 이유를 댈 수는 있겠지만, 정확한 증거자료를 제시하지 않고서는 규명을 할 수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주지사가 당선되고나서 실업률이 7프로 극감 했다. 라는 주장에 신빙성이 있나요? 인과효과가 있나요? 아니요 없습니다. 단지 주지사가 당선된 것과 실업률이 떨어진 것은 어찌보면 그냥 우연의 일치, 동시다발적 사건에 불과 합니다.
하지만 이 주장을 뒷받침 하려고 주지사가 내세웠던 정책들, 그리고 그 정책들에 대한 효과에 대해서 뒷받침 근거를 가지고 나오면 주지사가 실업률을 내렸다는 주장에 힘을 실어 줄 수 있습니다.
Weighting Options
내가 주장하는 것에 유리한 옵션과 불리한 옵션 두개만을 내어놓고 마치 독자에게
당연히 내가 주장하는 것이 맞다는 식으로 주장을 하는 것의 오류 입니다. 다른 대안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마치 이 것이 아니면 좋은 방법이 없다고 주장을 하는 것이죠.

예를 들자면, 마약의 퇴치를 위해서는 마약을 합법화시키는 것과 아니면 마약과의 전쟁을 하는 것이다라고 하는 것이죠. 꼭 이런 극단적인 방법이 아닌 마약을 끊게 하기 위한 보조 프로그램을 위한 캠페인과 모금 활동 또한 마약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구요.
추가로 궁금한 내용이 있으시다면?
영어 에세이 전문가 : 옥스포드 라이팅
<영어 에세이 전문가 - 옥스포드 라이팅 : 영어 에세이 과제 첨삭/대행 전문 컨설팅 >
" 전문가에게 문의 하세요 "